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언어모델
- 메타버스
- 플랫폼
- MSCS
- RecSys
- docker
- MLOps
- 머신러닝 파이프라인
- 중국플랫폼
- aws자격증
- chatGPT
- 자연어처리
- 클라우드자격증
- HTTP
- 추천시스템
- TFX
- nlp
- llm
- AWS
- 클라우드
- BANDiT
- transformer
- COFIBA
- 미국석사
- 머신러닝
- BERT이해
- MAB
- 네트워크
- BERT
- Collaborative Filtering Bandit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GDP (1)
Julie의 Tech 블로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MDVYR/btq9fmVgmyN/eRrpPezJkAeSdgAMHIs641/img.png)
본 글은 지난 편에 이어 한국에서의 주요 경제 지표를 소개하고 간단한 개념을 설명할 것이다. 한국에서는 두 가지 중요한 지표가 있다. 우선 첫째,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매달 첫날 "수출입동향" 보도자료를 공개한다. 홈페이지에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다. 둘째, 월말에 통계청에서 "산업활동동향"을 공개한다. 전 산업에 대해 생산의 증감에 대해 담고 있다. 전자의 경우 주요 수출 품목들이 어떤 추세를 지니고 있는지를 확인해야한다. 후자의 경우 투자하고자 하는 산업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경기흐름의 경우 한국지표보다는 미국 지표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더 좋다. 수출입 지표에 대해 좀 더 살펴보자. 수출은 두 기준으로 집계가 가능한데, 통관기준과 국제수지기준이다. 통관기준은 매월 20일까지의 집계치를..
Economics, Social
2021. 7. 10. 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