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클라우드
- 메타버스
- maang
- nlp
- BERT이해
- 자연어처리
- swe취업
- 플랫폼
- 클라우드자격증
- TFX
- MAB
- AWS
- HTTP
- 미국 개발자 취업
- 네트워크
- llm
- BANDiT
- 추천시스템
- 미국석사
- RecSys
- MSCS
- docker
- chatGPT
- 중국플랫폼
- BERT
- 머신러닝
- 언어모델
- transformer
- MLOps
- 합격후기
- Today
- Total
목록미국 개발자 취업 (4)
SWE Julie's life

일반적으로 미국 내 SWE 취업 성공률을 따질 때 순수히 개인이 지원하는 것보다 Recruiter로부터의 cold mail 혹은 referral을 통한 지원이 훨씬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내 경우에도 그랬다. 후기를 남기기에 앞서 대략적인 타임라인을 적어보자면,25년 1월 28일: LinkedIn DM으로 cold mail 받음25년 1월 30일: Recruiter call25년 1월 31일: Recruiter call 결과 전달받고 Phone screen 스케줄링25년 2월 10일: Phone Screen25년 2월 14일: Phone screen 결과 전달받고 Onsite 설명을 위한 Recruiter call 스케줄링(2월 19일 진행)25년 3월 6일: Onsite25년 3월 10일: Recrui..
인터뷰에 합격하게 되면 리크루터랑 통화를 하게 된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연봉협상 관련 이야기를 나눌 수도(!) 있다. 내 경우에는 팀매칭 없이 배정된 팀으로만 진행해야했기에 연봉협상 이야기를 이 때도 나눌 수 있었을 것이다. 연봉협상은 가장 흥미롭기도 하지만 내가 competing offer가 없다면 질 수 밖에 없는 게임이기도 하다. 인터넷에 보니 다수의 사람들이 FAANG 중 여러 competing offer를 받고선 서로 누가 연봉을 더 높게 불러주나 경쟁도 시키고들 했지만 당시 나의 경우에는 이 인터뷰가 가장 빨리 진행되었던 인터뷰이기도 하고, 별다른 곳에서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것이 없었기 때문에 불리했다. 연봉협상의 핵심은 이라는 것이다. 내게 정보가 많으면 많을수록 유리하다. 그 말은 내가 ..

미국의 대부분 테크 회사들의 경우 프로그래밍 실력을 굉장히 중시한다. 개인적으로 충격적이었던 건 전체 프로세스에서 코딩 인터뷰의 비중이 꽤 크다는 것이다. 가장 덜 중요한 것은 소위 인성면접인 Behavioral Interview이다. 개인적으로는 인성은 어떻더라도 코딩만 잘하면 된다는 인상을 받았다.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내가 준비했던 메타의 경우 전체 프로세스에서 최소 6개의 코딩 문제를 받게 된다. Pre-screening에서 2개, Onsite에서 4개를 받는데 이 라운드들은 모두 해당 면접자를 hire / no hire (채용할 것이냐, 아니냐) 를 가르게 되는 중요한 단계이다. 메타에서는 아무리 다른 라운드의 면접을 잘 보더라도 코딩 문제를 하나 이상 못풀게 되면 합격하기 어려우며 최소 채용 조..
일반적으로 SWE의 채용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다.Recruiter Call > Pre-screening > Onsite > Team Matching* recruiter call은 referral을 통하는 경우 제외될 수 있음.맨 앞의 recruiter call은 약간 서류 단계와 비슷한건데, candidate가 오픈된 JD(Job Description)에 기재된 자격에 부합하는지 확인한 후, 다음 단계로 진행할지 결정한다. 주로 30분 정도 짧게 통화하며 아래와 같은 내용을 이야기한다.Resume 검토 후 포지션과의 적합성 확인회사 및 팀에 대한 간략한 소개인터뷰 프로세스 안내비자 관련 사항 논의 (Optional)Referral은 소위 서류 단계를 통과하는데 용이하게 만들어준다. 보통 Linked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