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RecSys
- AWS
- Collaborative Filtering Bandit
- TFX
- MLOps
- MSCS
- BANDiT
- 네트워크
- 플랫폼
- 언어모델
- transformer
- 추천시스템
- 메타버스
- chatGPT
- 중국플랫폼
- aws자격증
- docker
- BERT
- 클라우드
- 머신러닝 파이프라인
- 미국석사
- llm
- 자연어처리
- 클라우드자격증
- COFIBA
- HTTP
- BERT이해
- MAB
- 머신러닝
- nlp
- Today
- Total
Julie의 Tech 블로그
사례를 통한 플랫폼 고찰 - 유투브(Youtube) 본문
넷플릭스나 디즈니는 경쟁관계이다.
넷플릭스는 10달러로 3만 5천 시간 분량의 넷플릭스 콘텐츠 모두를 조회할 수 있어 굉장한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콘텐츠 보유 강자인 디즈니가 시장에 뛰어들기로 결정한 이후, 둘간의 경쟁을 모두가 관심있게 지켜보았다.
디즈니는 좀 더 저렴한 가격으로 월정액 서비스를 운영하기로 결정하였다.
소비자는 넷플릭스나 디즈니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가입을 할 것이다.
둘 다 서비스 시장이기 때문이다. 두 기업 모두 콘텐츠를 제작 혹은 구매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반면 유투브는 플랫폼이다. 생산자와 소비자 양쪽이 유투브라는 공간에서 만나 콘텐츠를 공유하기 때문이다.
유투브는 한국에서도 굉장한 인기를 이끌었다. 다양하고도 수많은 콘텐츠들이 생산되어 유통된다.
우리나라는 기획력과 창의력이 뛰어난 민족이기 때문에 그 효과를 받아 더 성행할 수 있었다.
유투브는 예능과 같은 재미 위주의 콘텐츠 뿐만 아니라 교육적인 콘텐츠 영역까지 영향력을 확대하였다.
요즈음 검색도 유투브를 통해서 한다는 말이 생겨날만큼, 영상과 자료를 동시에 볼 수 있는 자료들로 학습 환경이 개선되었다.
단순히 재미를 위한 콘텐츠로서는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나가기 어렵다. ASMR과 같은 콘텐츠 유행이 금방 끝난 것으로 쉽게 유추가능하다.
유투브는 구글 편에서 다루었던 도구 중 하나인 애드센스를 통해 생산자가 콘텐츠 제작을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플랫폼의 선순환이 일어날 수 있었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유투브의 수익 모델은 광고인데, 콘텐츠 시청시 삽입되는 광고에 따른 수익 68%를 제작자에게 나누어준다.
광고 시청에 따른 평균 매출은 18센트 수준으로 12센트 정도를 제작자에게 주는 것이다.
2013년에는 유투브 프리미엄 채널을 새롭게 운영하였는데, 전문 아티스트에게 유료 채널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이러한 Plan은 광고에만 맞춰진 콘텐츠가 아니라,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2015년에는 유투브 프리미엄이라는 구독 모델을 도입하여 광고 중심의 수익모델에서 또 다른 수익 모델을 병행하였다.
유투브는 유투브 뮤직이나 구글 홈 솔루션과도 쉽게 결합될 수 있어 굉장한 영향력을 보여준다.
구글 미니 홈에게 노래를 틀어달라고 요청할 경우 영상과 함께 조회도 가능하고, 뮤직을 통해 음악만을 청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들과의 결합을 통해 사용자들은 점점 더 플랫폼에 Lock-in이 되고, 더 많은 사용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었다.
유투브는 거대한 네트워크 효과를 통해 다른 유사한 플랫폼 등장이 어렵도록 장벽아닌 장벽을 생성하였다.
매일 수백 수천개의 동영상들이 제작되며, 이러한 성장 속도를 따라잡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틱톡은 15초라는 짧은 영상을 메인 캐치프라이즈로 내밀면서 유투브와 양대산맥을 이룰 것처럼 무섭게 성장하였다.
틱톡 창업자는 생활 즉 삶을 살아감에 있어서 현대인이 너무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며 15초의 짧은 콘텐츠를 생각해냈다고 한다.
하지만 이 콘텐츠는 재미에만 한정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주로 콘텐츠 생산자로서 활동하는 유저들이 엔터테이너들로 한정된다.
이에 따라 학습이나 주장형 콘텐츠가 제작되기는 어려웠고, 플랫폼 내에서 오래 머물 이유조차 없어 Time killing용 어플로 전락하였다.
최근 유투브에서도 #Shorts 와 같이 짧은 동영상을 제작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유투브와 틱톡의 성장 차이에 대한 원인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글은 아래 책을 읽고 재구성되었습니다.
'Economics, Soci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례를 통한 플랫폼 고찰 - 모바일 플랫폼, 애플과 구글 (0) | 2021.08.26 |
---|---|
사례를 통한 플랫폼 고찰 - 플랫폼과 공유경제, 우버(Uber) (0) | 2021.08.22 |
사례를 통한 플랫폼 고찰 - 페이스북(Facebook) (0) | 2021.07.23 |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기본 경제 지표 - 한국편 (0) | 2021.07.10 |
거시경제 지표로 살펴보는 시장 버블 (0) | 2021.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