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nlp
- 추천시스템
- AWS
- 클라우드자격증
- COFIBA
- aws자격증
- RecSys
- 자연어처리
- 네트워크
- TFX
- Collaborative Filtering Bandit
- 플랫폼
- docker
- BERT
- MAB
- transformer
- MSCS
- 클라우드
- BERT이해
- MLOps
- 언어모델
- 중국플랫폼
- HTTP
- chatGPT
- BANDiT
- llm
- 메타버스
- 머신러닝 파이프라인
- 머신러닝
- 미국석사
- Today
- Total
목록Economics, Social (25)
Julie의 Tech 블로그
오늘은 경제학의 역사를 간단하게 되돌아보고, 현재 경제상황과 연준이 대처하는 방식에 대해 이해해볼 수 있도록 할 것이다. 경제학 공부를 입문하게 되면, 가장 처음으로 '아담 스미스'와 마주하게 된다. 보이지 않는 손, 즉 경제에 대해 정부가 개입하지 않고 흘러가는대로 두면 문제가 해결된다고 보는 입장이다. 자본주의가 흘러가는대로 두게 되면, 빈부격차가 발생하게 된다. 부자들이 더욱 부자가 되게 된다. 1929년 세계 대공황이 닥쳤을 때, 미국 GDP 60%가 증발하였다. 이러한 대공황에 대해 대처하기 위해 정부의 개입이 시작되었다. 케인즈가 떠오르면서, 적극적인 정부의 개입을 장려하였다. (1940~1960) 정부는 투자를 늘렸고, 그에 따라 경기는 회복되었지만,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였다. 필립스 ..
YCC란 Yield Curve Control 의 줄임말로, 2016년 일본 중앙은행에서 "장단기 금리 조작을 통한 양적 완화" 정책을 부른다. 장기 국채 금리(자본시장)를 중앙은행에서 매입하여 그 금리를 낮추는 행위를 부른다. 현재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1.52%, 2년물이 0.157%로 137bp정도 차이가 난다. 최근에 차이가 많이 줄어들었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10년물 국채 금리가 굉장히 상승하면서, 사람들이 장기 금리를 낮추기 위해 중앙은행/연준이 개입하여 매입해야하는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많았다. 하지만 주로 YCC를 통해 장기 금리를 조작했던 이유는, 경기가 침체가 되어있거나, 금융시장이 좋지 않았을 경우였다. 현재 시장 상황을 보았을 때는 경기가 침체되어있지도 않고, 금융시장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yJEo/btq5tbDTI7w/hkKwPGpepJ4QnkZlpzlqjk/img.png)
오늘 새벽 3시에 FOMC가 있었는데,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코스피에 빨간 불이 켜진 것을 보고 파월 의장이 긴축에 대해 부정적으로 이야기했겠구나 싶어, 허겁지겁 환율을 검색하여 환전을 실행했다. 미국도 간밤에 끝물 즈음에는 상승세를 보였다. 우리나라도 역시 상승세로 장을 시작했다. 우선 오늘 새벽 FOMC 발표를 정리하면, 2023년까지 제로금리를 유지한다고 말하였다. 단기 금리를 0.0 ~ 0.25%로 맞추겠다고 했고, 인플레이션 역시 기저효과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단언하며 장기금리 상승에 대한 우려를 줄여버렸다. 여기서 말하는 기저효과란, 작년 코로나로 인해 상당히 물가가 낮았기에 대비 효과가 크다는 것을 말한다. 반대로 10년물 국채금리는 FOMC의 결정이 지금 시장을 낙관적으로 보았다고 ..
최초 작성일자 : 2021. 3. 22. 23:34 근래에 WTI 가격이 많이 변동하고 있다. 누구는 바이든과 푸틴간의 대립 때문이라고도 하는데, 사실 원유 가격은 사회적인 이슈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기 어렵다. 원유는 원자재 시장에 속하고, 주식이나 채권과는 달리 당장의 수요와 소비에 따라 가격이 결정된다. 따라서 매주 목요일 EIA 기관에서 발표하는 원유 재고량에 따라 가격이 크게 움직인다. 최근 바이든 정부의 친환경 정책 덕분에 원유 재고량이 많이 감소하고 있었는데, 지난주 다시 소폭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원인 분석으로 아직 펜데믹 상황이 완벽하게 복구되지 못했다 혹은 푸틴이 바이든과의 갈등으로 인해 원유 공급을 늘릴 것이다 등 여러가지로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러시아의 경우 정부 재정의 절반 ..
지난 26일 300억 달러 블록딜이 발생했다. 사람들은 이를 놓고 대규모 수준의 경제공황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냐는 갑론을박을 벌였지만, 매매가 체결되었다는 것은 매수도 있었다는 것. 블록딜이 대해 좀더 살펴보자. 개인 투자사인 아케고스 캐피털 매니지먼트는 미중 무역전쟁 갈등이 심화됨에 따라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던 텐센트, 바이두 등의 중국 주식들을 마진콜 반대매매를 하게 되었다. 사모펀드처럼 개인의 돈을 모아 투자하는 회사인데, 금융기관으로부터 따로 보유하고 있던 주식 자산을 담보로 레버리지 투자를 하고 있었다. 이러한 회사들은 안전을 위해 정반대의 두 전략을 동시에 펼치게 되는데, 예를 들어 투자하고자 하는 특정 종목들을 매수하고, 그와 비슷하게 움직이는 다른 자산들을 숏 or 공매도하게 된다. 즉..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전년에 비해 4.2% 정도 상승하였다. 사람들은 인플레이션을 걱정하고, 연준에게 연방기금금리를 높이기를 기대한다. 우리나라와 외국의 중앙은행 상황은 조금 다르다. 한국은행은 1조 1항에 "... 통화신용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통하여 물가안정을 도모..."의 문구로 물가 안정을 언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앙은행은 보통 물가 안정을 최고 목표로 잡고 있다고 생각한다. 일본의 경우에는 금융안정을 최우선으로 두고, 그 다음으로 물가 안정을 두고 있다. 연준은 1913년에 설립되었다. 그 땐 '물가안정'이라는 용어가 없었다. 1907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보면, 영국이 세계를 대표하고 있었고, 금본위제를 시행하고 있었다. 파운드화가 금본위제에 따라 교환 가능한 금의 비율이 정해져있었고,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