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미국석사
- llm
- 자연어처리
- MLOps
- 추천시스템
- 네트워크
- TFX
- BERT이해
- 클라우드
- Collaborative Filtering Bandit
- MAB
- 언어모델
- 클라우드자격증
- docker
- RecSys
- nlp
- transformer
- COFIBA
- HTTP
- 머신러닝
- chatGPT
- aws자격증
- 중국플랫폼
- 플랫폼
- AWS
- BANDiT
- BERT
- 머신러닝 파이프라인
- MSCS
- 메타버스
- Today
- Total
목록플랫폼 (12)
Julie의 Tech 블로그
이전까지 시장형 플랫폼에 대해 각 기업의 사례를 들어 살펴보았었다. 이번 글부터는 광장형 플랫폼을 다뤄볼 것이다. 시장형 플랫폼과 광장형 플랫폼은 수익구조에서 크게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시장형 플랫폼의 경우 광장형 플랫폼과는 달리 트래픽이 지속적으로 인입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수수료와 같은 BM을 지닌다. 반면 광장형 플랫폼의 경우 트래픽이 어느 정도 보장되고, 늘 일정 수준 이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광고와 같은 BM을 지닐 수 있다. 광장형 플랫폼의 경우 인프라 플랫폼이 대표적이다. 인프라 플랫폼은 모바일 플랫폼(OS시장 - 구글, 애플 등)이나 클라우드(AWS, Azure 등) 등이 해당된다. 인프라 플랫폼은 특성상 B2B적인 성향이 강하다. 따라서 개인으로서는 인프라 플랫폼이 익숙하지 ..
공유경제란, 물품을 소유의 개념이 아닌 서로 대여 및 차용해 쓰는 개념으로 인식하는 경제활동 시장 플랫폼은 종종 공유경제와도 얽혀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의미하는 공유경제의 개념은 조금 더 소비중심의 경제활동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예를 들어 우버와 같은 차량공유 플랫폼 역시 공유경제의 개념과 접목할 수 있는 부분들이 있다. 여기서 주의해야할 것은, 공유경제라는 가치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경제행위를 통해 가치가 창출되고, 그 창출된 가치가 공동으로 향유할 수 있어야한다. 단순히 차용하여 쓴다고 해서 공유경제라곤 할 수 없고, 차용해서 쓴 가치가 공동이 향유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발생해야한다. 우버를 통해 모두가 이동수단으로 개인차량으로 이용하던 것에서, 일부가 공동차량으로 소비하게 됨으로써 사회 전체적으로 ..
넷플릭스나 디즈니는 경쟁관계이다. 넷플릭스는 10달러로 3만 5천 시간 분량의 넷플릭스 콘텐츠 모두를 조회할 수 있어 굉장한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콘텐츠 보유 강자인 디즈니가 시장에 뛰어들기로 결정한 이후, 둘간의 경쟁을 모두가 관심있게 지켜보았다. 디즈니는 좀 더 저렴한 가격으로 월정액 서비스를 운영하기로 결정하였다. 소비자는 넷플릭스나 디즈니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가입을 할 것이다. 둘 다 서비스 시장이기 때문이다. 두 기업 모두 콘텐츠를 제작 혹은 구매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반면 유투브는 플랫폼이다. 생산자와 소비자 양쪽이 유투브라는 공간에서 만나 콘텐츠를 공유하기 때문이다. 유투브는 한국에서도 굉장한 인기를 이끌었다. 다양하고도 수많은 콘텐츠들이 생산되어 유통된다. 우리나라는 기획력과 창의..
미디어(Media), 페이스북은 미디어 시장에서의 혁명을 일으켰다고 볼 수 있다. 미디어란 소비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전달 방식인데, 전통적으로 신문과 방송이 대표적인 매체였었다. 페이스북은 미디어 생산자와 미디어 소비자 간의 벽을 허물었다. 미디어 생산과 유통 과정에 소비자를 참여시켰다. 독점적으로 유통되었던 미디어가 이제는 누구에게나 개방되었고, 소수였던 미디어 생산자는 누구나 될 수 있는 불특정 다수가 되었다. 책에서는 페이스북의 플랫폼으로서의 성장이 구글과 달리 도구의 매력성이나 우월성에서 비롯되지 않았다고 한다. 단지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전략으로 규모를 키웠고, 그 규모가 SNS의 네트워크 효과 덕을 보아 더욱 몸집을 키울 수 있었다고 한다. 트위터나 싸이월드와 같이 페이스북은 SNS로서..
다양한 플랫폼 형태들을 구분하고 특징을 정의하는 것은 플랫폼이란 개념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 중요하다. 저자는 개방 정도와 운영자의 개입 수준에 따라 플랫폼을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 광장 플랫폼, 시장 플랫폼, 그리고 인프라 플랫폼 간단하게 살펴보면, 광장 플랫폼은 누구나 접근이 나능하며 가장 개방적이기 때문에 수익보다는 광고와 같은 수익모델을 지닌다. 시장 플랫폼은 전형적으로 우리가 아는 '시장'과 같이 거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수료와 같은 수익모델을 보유한다. 인프라 플랫폼은 사용자간 만남을 주선해주거나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수수료 혹은 사용료의 형태로 수익모델을 가져간다. * 광장 플랫폼 구글, 페이스북, 유투브, 인스타그램, 트위터 모두 광장형 플랫폼에 속한다. 진입장벽이 없고, ..
플랫폼은 수익이 아닌 가치를 추구해야한다. 플랫폼은 이익을 목적으로 성립되기 어렵다. 소비자와 공급자의 양면시장을 끼고 있는 플랫폼은, 그 특성상 자체 수익을 추구하는 행위가 참여자의 후생을 줄인다는 의미와 동일하게 된다. 또한 플랫폼 경쟁을 통해 얻어낸 독점이라는 지위가 수익과 함께 결합되는 순간, '횡포'가 된다. 물론 플랫폼 역시 기업이기에 이윤을 추구해야하지만, 플랫폼을 운영하며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와 수익가치는 분리되어야한다. 초기 플랫폼은 수익추구는 조금 제쳐두고 봐야할 필요가 있다. 플랫폼은 공급자와 소비자 모두를 고객으로 여기고 있는데, 공급자는 본래 수익을 추구하는 존재이며, 소비자는 고객이기에 플랫폼은 양측으로부터 이익을 얻어내기 어렵다. 플랫폼이 성장을 기하는 단계에 있을 땐 규모..